맨위로가기

1974년 태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4년에는 서태평양에서 35개의 열대 저기압이 발생했으며, 이 중 32개가 열대 폭풍으로 발달했다. 16개의 폭풍이 태풍 강도에 도달했으며, 슈퍼 태풍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 해에는 32개의 태풍이 발생했고, 태풍 완다를 시작으로 태풍 키트까지 총 32개의 태풍이 명명되었다. 태풍 길다로 인해 대한민국에서 128명이 사망하고 15억 달러의 피해가 발생했으며, 태풍 다이나, 아이비, 베스, 카르멘, 일레인, 이르마 등으로 인해 필리핀과 주변 국가에서도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태풍 - 태풍 길다 (1974년)
    1974년 태풍 길다는 류큐 열도를 거쳐 발달, 한반도와 일본에 상륙하여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냈으며, 특히 한국에서는 미흡한 재해 대응으로 재난 관리 체계 개선의 계기가 되었다.
1974년 태풍
시즌 정보
1974년 태평양 태풍 시즌 경로 요약
1974년 태평양 태풍 시즌 경로
관할 구역북서태평양
연도1974년
첫 번째 태풍 발생일1974년 1월 8일
마지막 태풍 소멸일1974년 12월 24일
가장 강력한 태풍 이름글로리아 (태풍 28호)
최저 기압930 hPa
최대 풍속120 노트 (220 km/h)
평균 풍속1 노트
총 열대저기압 수55개
총 태풍 수32개
총 허리케인 수16개
강력한 태풍 수0개 (기록상 최저)
사망자 수361명 이상
피해액15억 5천만 달러 이상
관련 시즌1972년
1973년
1974년
1975년
1976년
관련 시즌 (대서양)1974년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
관련 시즌 (동태평양)1974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관련 시즌 (북인도양)1974년 북인도양 사이클론 시즌

2. 1974년 태풍 목록

1974년 서태평양에서는 총 35개의 열대 저기압이 발생했으며, 이 중 32개가 열대 폭풍으로 발달했다. 16개의 폭풍이 태풍 강도에 도달했지만, 슈퍼 태풍은 발생하지 않았다. 1974년은 슈퍼 태풍이 없었던 가장 최근의 해이다.[2]

다음은 1974년에 발생한 태풍 목록이다.

이름날짜최대 강도영향을 받은 지역피해
(USD)
사망자참고
범주풍속기압
완다(아탕)1월 8일 – 14일강한 열대 폭풍100km/h992 hPa마리아나 제도없음없음
에이미3월 12일 – 20일열대 폭풍100km/h992 hPa캐롤라인 제도, 마리아나 제도없음없음
베이비4월 25일 – 5월 3일강한 열대 폭풍110km/h985 hPa마리아나 제도없음없음
카를라5월 1일 – 7일태풍150km/h965 hPa마리아나 제도없음없음
TD5월 18일 – 19일열대 저기압미정1004 hPa캐롤라인 제도없음없음
TD5월 21일 – 23일열대 저기압미정1006 hPa팔라우없음없음
디나(비싱)6월 5일 – 14일태풍130km/h965 hPa필리핀, 남중국해300만달러73
05W6월 6일 – 8일열대 저기압55km/h1000 hPa남중국해없음없음
엠마(클라링)6월 12일 – 19일강한 열대 폭풍110km/h990 hPa류큐 열도없음없음
프레다6월 17일 – 23일열대 폭풍85km/h990 hPa없음없음없음
길다(델링)6월 26일 – 7월 8일태풍165km/h945 hPa류큐 열도, 대한민국, 일본15억달러128
엠앙7월 5일 – 10일열대 저기압55km/h1000 hPa없음없음없음
해리엇(가딩)7월 13일 – 20일열대 폭풍85km/h996 hPa없음없음없음
아이비(일리앙)7월 14일 – 21일태풍175km/h950 hPa필리핀, 남중국해미상66
진(헬링)7월 17일 – 21일강한 열대 폭풍85km/h994 hPa타이완, 동중국해없음없음
7월 22일 – 24일강한 열대 폭풍95km/h990 hPa없음없음없음
TD7월 26일 – 27일열대 저기압미정1006 hPa없음없음없음
TD8월 1일 – 3일열대 저기압미정1006 hPa없음없음없음
롤링8월 4일 – 8일열대 저기압55km/h1004 hPa필리핀없음없음
루시(미딩)8월 7일 – 12일열대 폭풍85km/h996 hPa없음없음없음
TD8월 7일 – 10일열대 저기압미정1004 hPa없음없음없음
TD8월 8일 – 9일열대 저기압미정1000 hPa타이완없음없음
TD8월 9일열대 저기압미정1004 hPa없음없음없음
TD8월 10일 – 12일열대 저기압미정996 hPa마리아나 제도없음없음
TD8월 10일 – 14일열대 저기압미정996 hPa마리아나 제도없음없음
TD8월 10일 – 12일열대 저기압미정1000 hPa없음없음없음
메리8월 11일 – 27일태풍175km/h950 hPa마리아나 제도, 동중국해, 류큐 열도, 일본미상3
16W8월 13일 – 16일열대 저기압55km/h992 hPa베트남, 라오스, 태국없음없음
나딘(노밍)8월 15일 – 18일강한 열대 폭풍95km/h980 hPa없음없음없음
TD8월 20일 – 21일열대 저기압미정992 hPa없음없음없음
로즈(오양)8월 24일 – 9월 1일강한 열대 폭풍95km/h985 hPa타이완, 류큐 열도없음없음
폴리8월 25일 – 9월 5일태풍175km/h945 hPa마리아나 제도, 일본미상미상
20W8월 26일 – 29일열대 저기압55km/h994 hPa류큐 열도없음없음
TD8월 28일 – 29일열대 저기압미정1010 hPa없음없음없음
TD8월 31일 – 9월 1일열대 저기압미정1008 hPa없음없음없음
셜리(파싱)9월 2일 – 11일태풍140km/h970 hPa류큐 열도, 일본미상미상
TD9월 3일 – 5일열대 저기압미정1002 hPa일본없음없음
트릭스9월 4일 – 8일열대 폭풍75km/h990 hPa남중국해없음없음
TD9월 9일 – 10일열대 저기압미정1008 hPa없음없음없음
버지니아9월 10일 – 16일태풍140km/h970 hPa없음없음없음
TD9월 10일 – 16일열대 저기압미정1006 hPa필리핀없음없음
TD9월 14일열대 저기압미정1008 hPa없음없음없음
TD9월 18일 – 19일열대 저기압미정1006 hPa필리핀없음없음
웬디(루핑)9월 19일 – 10월 2일강한 열대 폭풍110km/h985 hPa필리핀, 타이완, 류큐 열도없음없음
아그네스9월 21일 – 10월 3일태풍195km/h960 hPa없음없음없음
베스(수상)10월 7일 – 14일태풍120km/h975 hPa필리핀, 남중국해, 베트남919.9999999999999만달러32
카르멘(테링)10월 12일 – 20일태풍140km/h975 hPa필리핀, 남중국해1300만달러25
델라(우딩)10월 18일 – 27일태풍165km/h960 hPa필리핀, 남중국해, 베트남미상미상
엘레인(웨닝)10월 22일 – 31일태풍175km/h940 hPa필리핀, 남중국해2100만달러23
페이(야닝)10월 30일 – 11월 5일강한 열대 폭풍100km/h985 hPa필리핀, 인도차이나없음없음
글로리아(아닝)11월 2일 – 11일태풍220km/h930 hPa필리핀미상미상
헤스터11월 12일 – 15일열대 폭풍65km/h1000 hPa베트남없음없음
이르마(비당)11월 21일 – 12월 3일태풍215km/h940 hPa필리핀, 남중국해730만달러11
주디(카딩)12월 14일 – 19일열대 폭풍75km/h1000 hPa필리핀, 베트남없음없음
키트(델랑)12월 18일 – 24일열대 폭풍75km/h996 hPa필리핀없음없음


2. 1. 제1호 태풍 완다 (아탕)

1월 8일 팔라우 남서쪽에서 열대성 기압골이 발달했다.[1] 다음 날, 이 기압골은 열대 저기압과 열대 폭풍으로 각각 격상되었다. 완다는 1월 10일 시속 약 104.61km(105km)의 열대 폭풍으로 최대 강도에 도달했다. 그 후 이 폭풍은 1월 11일 열대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완다는 1월 14일에 소멸되었다.[3]

2. 2. 제2호 태풍 에이미

열대 폭풍 에이미(Tropical Storm Amy)는 1974년 3월 12일 남쪽에서 열대성 저기압으로 형성되었으며, 3월 14일에 열대성 저기압으로 발달했다.[1] 3월 15일 늦게 오른쪽으로 방향을 바꾸기 시작하여 3월 17일에는 북동쪽으로 향했다.[1] 같은 날 열대 폭풍으로 발달했다.[1] 3월 19일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어 얼마 지나지 않아 소멸되었다.[1] 최대 풍속은 55노트 (100km/h), 최저 기압은 992 hPa이었다.

2. 3. 제3호 태풍 베이브

열대폭풍 베이브(Babe)는 4월 25일 축 서쪽에서 발생했다. 북서쪽으로 이동하면서 26일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하여 북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27일과 28일에는 과 사이판 서쪽을 지나갔으며, 29일에는 열대폭풍으로 세력이 강화되었다. 북쪽으로 계속 이동하다가 5월 1일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된 후, 며칠 동안 북동쪽으로 이동하다가 소멸되었다.

최대 풍속은 60knots (110km/h), 최저 기압은 985 hPa였다.

2. 4. 제4호 태풍 칼라

태풍 칼라는 4월 29일 폰페이 섬 부근에서 처음 기상 교란으로 관측되었다. 이 기상 교란은 이후 4일 동안 북서쪽으로 이동하며 5월 2일에 열대 폭풍으로 발달했다. 칼라의 중심은 5월 3일에 티니안 섬과 사이판 섬을 통과했다. 그날 늦게 폭풍은 북쪽으로 방향을 틀었고, 5월 4일에는 태풍으로 세력이 강화되었다. 5월 5일에는 중심 기압 965hPa, 풍속 80노트의 최대 강도에 도달했다. 이후 전단력 증가로 약화되기 시작하여 같은 날 늦게 다시 열대 폭풍으로 약화되었다. 5월 6일에는 전선 시스템에 흡수되기 전까지 북동쪽으로 계속 이동했다.[1]

2. 5. 제5호 태풍 다이나 (비싱)

6월 7일에 발생한 다이나(Dinah)는 시속 약 128.75km의 태풍으로 6월 10일에 루손 섬에 상륙했다. 이후 북서쪽으로 계속 이동하여 하이난 섬에 상륙했고, 통킹 만을 건너 북베트남에서 소멸되었다. 다이나로 인해 73명이 사망하고 33명이 실종되었으며, 300만달러의 농작물 피해(1974년 USD)가 발생했다.

2. 6. 제6호 태풍 엠마 (클라링)

Emma영어는 1974년 6월 12일에 발생하여 6월 19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90 hPa, 최대 풍속은 60노트 (110 km/h)였다. 엠마는 열대 폭풍으로 유지되었다.[1]

2. 7. 제7호 태풍 프레다

프레다는 중간 강도의 열대 폭풍으로 최대 세력에 도달했다. 6월 17일에 발생하여 6월 23일에 소멸하였다. 최대 풍속은 45노트 (85km/h)였고 최저 기압은 990 hPa이었다.

2. 8. 제8호 태풍 길다 (델링)

열대 폭풍 길다는 7월 초 일본과 대한민국 사이를 통과하면서 폭우와 산사태를 일으켰다.[1] 최대 풍속은 약 160.93km였다.[1] 이로 인해 128명(실종 26명)이 사망하고, 15억달러 (1974년 기준)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1]

2. 9. 제9호 태풍 해리엇 (가딩)

Harriet영어은 1974년 7월 13일에 발생하여 7월 20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대 풍속은 45노트 (85 km/h), 최저 기압은 996 hPa이었다. 해리엇은 육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1]

2. 10. 제10호 태풍 아이비 (일리앙)

1974년 7월 14일에 발생한 태풍 아이비(IVY)는 7월 20일 루손에 상륙하여 66명의 사망자를 냈다. 이 태풍은 1974년 미스 유니버스 대회가 마닐라에서 열리기 하루 전에 상륙했다.[1] 태풍 아이비는 북서쪽으로 계속 이동하여 이틀 후 중국 남동부에 상륙했다.[1]

태풍 아이비의 주요 정보는 다음과 같다.

항목내용
발생일7월 14일[1]
소멸일7월 21일[1]
최대 풍속95노트 (175km/h)[1]
최저 기압950 hPa[1]


2. 11. 제11호 태풍 진 (헬링)

태풍 진


태풍 진(Jean)은 7월 17일에 발생하여 7월 21일에 소멸하였다. 최대 풍속은 45노트 (85km/h)였고 최저 기압은 994 hPa로, 약한 세력을 유지했다.

2. 12. 제12호 태풍 킴

제12호 태풍 킴(Kim)은 1974년 7월 22일에 발생하여 7월 24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90 hPa, 최대 풍속은 50노트(95 km/h)였다. 킴은 재발달했다.

2. 13. 제13호 태풍 루시 (미딩)

1974년 제13호 태풍 루시(미딩)는 8월 7일에 발생하여 8월 12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대 풍속은 35노트 (85 km/h), 최저 기압은 994 hPa였다.

2. 14. 제14호 태풍 메리

태풍 Mary영어는 1974년 8월 11일에 발생하여 8월 27일에 소멸하였다. 최대 풍속은 70노트 (175 km/h), 최저 기압은 950 hPa였다. 태풍 Mary영어는 복잡한 움직임을 보였다.[1]

2. 15. 제15호 태풍 나딘 (노밍)

1974년 8월 15일에 발생한 제15호 태풍 나딘(노밍)은 8월 18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80 hPa, 최대 풍속은 50노트(95 km/h)였다.[4]

2. 16. 제16호 태풍 폴리

제16호 태풍 폴리는 1974년 8월 25일에 발생하여 9월 5일에 소멸하였다. 최대 풍속은 95노트 (175km/h)였으며 최저 기압은 945 hPa이었다.

이 태풍의 접근으로 발달한 강우 구름이 간토 지방에 정체하면서 폭우로 인한 홍수가 발생했다.[8] 특히 도쿄도에서는 다마가와가 범람하여 고마에시의 민가 19채가 유실되는 대규모 수해가 발생했다.[9] 이는 숙가와라 제방에 의해 물의 흐름이 막히면서 좌안 제방이 붕괴된 것이 원인이었다.

2. 17. 제17호 태풍 로즈 (오양)

Rose영어는 1974년에 발생한 17번째 태풍이다. 8월 24일에 발생하여 9월 1일에 소멸하였다. 최대 풍속은 50노트 (95 km/h), 최저 기압은 985 hPa이었다.[1] Rose영어는 강한 열대폭풍(STS) 등급이었다.[1]

분류:1974년 태풍

분류:1974년 8월

분류:1974년 9월

2. 18. 제18호 태풍 셜리 (파싱)

1974년 9월 2일에 발생하여 9월 11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70 hPa, 최대 풍속은 140km/h였다.[1]

2. 19. 제19호 태풍 트릭스

Trix|트릭스영어는 1974년 9월 4일에 발생하여 9월 8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대 풍속은 40노트 (75 km/h), 최저 기압은 990 hPa이었다. 트릭스는 1974년 태풍 제19호이다.[1]

2. 20. 제20호 태풍 버지니아

버지니아


1974년 9월 10일에 발생하여 9월 16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70 hPa, 최대 풍속은 75노트 (140 km/h)였다.

2. 21. 제21호 태풍 웬디 (루핑)

Wendy영어는 1974년 9월 19일에 발생하여 10월 2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대 풍속은 60노트 (110 km/h), 최저 기압은 985 hPa이었다.

2. 22. 제22호 태풍 아그네스

제22호 태풍 아그네스는 9월 21일에 발생하여 10월 3일에 소멸한 태풍으로, 최대 풍속은 105노트 (195km/h), 최저 기압은 960 hPa이었다.

2. 23. 제23호 태풍 베스 (수상)

Bess|베스영어는 10월 7일에 발생하여 10월 14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대 풍속은 65노트 (120km/h), 최저 기압은 975 hPa였다. 필리핀과 베트남에 상륙하여 32명의 사망자와 9200000USD의 재산 피해를 발생시켰다.[1]

2. 24. 제24호 태풍 카르멘 (테링)

Carmen영어은 10월 12일에 발생하여 10월 20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대 풍속은 75노트 (140 km/h)였고 최저 기압은 975 hPa였다. Carmen영어필리핀에 상륙하여 25명의 사망자와 1300만달러의 재산 피해를 발생시켰다.

2. 25. 제25호 태풍 델라 (우딩)

태풍 델라(Della영어)는 1974년 10월 18일에 발생하여 10월 27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대 풍속은 90노트 (165km/h), 최저 기압은 960 hPa이었다.[2] 1974년에 발생한 25번째 태풍이다.

2. 26. 제26호 태풍 일레인 (웨닝)

제26호 태풍 일레인(웨닝)은 10월 22일에 발생하여 10월 31일에 소멸하였다. 최대 풍속은 95노트 (175 km/h)였으며, 최저 기압은 940 hPa였다. 태풍 일레인은 필리핀에 상륙하여 23명의 사망자와 2100만달러의 재산 피해를 발생시켰다.

2. 27. 제27호 태풍 페이 (야닝)

태풍 Faye영어는 1974년에 발생한 27번째 태풍으로, 필리핀에서는 야닝(Yaningtl)이라고 불렸다.[1] 10월 30일에 발생하여 11월 5일에 소멸하였다.[1] 최대 풍속은 55노트 (100 km/h)였으며, 최저 기압은 985 hPa이었다.[1]

2. 28. 제28호 태풍 글로리아 (아닝)

Gloria영어는 1974년 11월 2일에 발생하여 11월 11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대 풍속은 120kn였고 최저 기압은 930 hPa이었다.
1974년 11월 6일의 태풍 글로리아

2. 29. 제29호 태풍 헤스터

제29호 태풍 헤스터는 1974년 11월 12일에 발생하여 11월 15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대 풍속은 35노트 (65 km/h), 최저 기압은 1000 hPa이었다. 1951년 통계 시작 이후 두 번째로 수명이 짧은 태풍으로 기록되었다. 다만, 1970년의 태풍 13호는 날짜 변경선 상에서 발생하여 동쪽으로 이동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헤스터가 가장 수명이 짧은 태풍이다.

태풍 헤스터의 발생과 소멸 정보는 다음과 같다.

발생일소멸일최대 풍속최저 기압
11월 12일11월 15일35노트 (65 km/h)1000 hPa


2. 30. 제30호 태풍 이르마 (비당)

태풍 이르마(비당)는 1974년 11월 21일에 발생하여 12월 3일에 소멸하였다. 최대 풍속은 115kn였고 최저 기압은 940 hPa였다. 필리핀에 상륙하여 11명의 사망자와 730만달러의 재산 피해를 발생시켰다.

2. 31. 제31호 태풍 주디 (카딩)

Judy영어는 1974년 12월 14일에 발생하여 12월 19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대 풍속은 40노트 (75 km/h)였으며 최저 기압은 1000 hPa이었다.

2. 32. 제32호 태풍 키트 (델랑)

Kit영어은 1974년 12월 18일에 발생하여 12월 24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96 hPa, 최대 풍속은 40kn였다.

3. 태풍 이름

1974년 태풍 시즌 동안 서태평양에서는 32개의 명명된 열대 저기압이 발생했으며, 이들은 열대 폭풍으로 발달했다고 판단된 시점에 합동태풍경보센터(JTWC)에 의해 이름이 붙여졌다. 이 이름들은 1950년대 후반부터 개정된 목록에서 가져왔다.

필리핀 대기 지구물리 천문청(PAGASA)은 관할 지역 내 열대 저기압에 자체 명명 체계를 사용한다. PAGASA는 관할 지역 내에서 발생하거나 이동해 오는 모든 열대 저기압에 이름을 부여한다. 주어진 연도의 이름 목록이 부족할 경우, 시즌 시작 전에 매년 처음 6개의 이름이 발표되는 보조 목록에서 이름을 가져온다. 이 목록에서 은퇴하지 않은 이름은 1978년에 다시 사용될 예정이었으며, 1970년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목록이다. PAGASA는 필리핀어로 된 자체 명명 체계를 사용하며, "ng" (A, B, K, D 등)로 끝나는 필리핀 여성의 이름을 사용한다.

필리핀에 극심한 피해를 입힌 후, PAGASA는 ''웨닝''이라는 이름을 은퇴시키고 1978년에 ''웰링''으로 대체했다.[1]

3. 1. 합동태풍경보센터(JTWC) 명명

Wanda|완다영어, Amy|에이미영어, Babe|베이브영어, Carla|칼라영어, Dinah|다이나영어, Emma|엠마영어, Freda|프레다영어, Gilda|길다영어, Harriet|해리엇영어, Ivy|아이비영어, Jean|진영어, Kim|킴영어, Lucy|루시영어, Mary|메리영어, Nadine|나딘영어, Polly|폴리영어, Rose|로즈영어, Shirley|셜리영어, Trix|트릭스영어, Virginia|버지니아영어, Wendy|웬디영어, Agnes|아그네스영어, Bess|베스영어, Carmen|카르멘영어, Della|델라영어, Elaine|일레인영어, Faye|페이영어, Gloria|글로리아영어, Hester|헤스터영어, Irma|이르마영어, Judy|주디영어, Kit|키트영어

3. 2. 필리핀 기상청(PAGASA) 명명

필리핀 기상청(PAGASA)에서 명명한 태풍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1]

아탕, 비싱, 클라링, 델링, 에망, 가딩, 헬링, 일리앙, 로렝, 미딩, 노밍, 오양, 파싱, 루핑, 수상, 테링, 우딩, 웨닝, 야닝, 아닝, 비당, 카딩, 델랑

4. 피해 기록

1974년 태풍 시즌에는 총 32개의 열대 저기압이 발생했으며, 그중 대한민국에 큰 피해를 입힌 것은 태풍 길다였다.

이름날짜최대 강도영향을 받은 지역피해
(USD)
사망자
범주풍속기압
디나(비싱)6월 5일 – 14일태풍bgcolor=#|bgcolor=#|필리핀, 남중국해73
길다(델링)6월 26일 – 7월 8일태풍bgcolor=#|bgcolor=#|류큐 열도, 대한민국, 일본128[1]
아이비(일리앙)7월 14일 – 21일태풍bgcolor=#|bgcolor=#|필리핀, 남중국해미상66
메리8월 11일 – 27일태풍bgcolor=#|bgcolor=#|마리아나 제도, 동중국해, 류큐 열도, 일본미상3
폴리8월 25일 – 9월 5일태풍bgcolor=#|bgcolor=#|마리아나 제도, 일본미상미상
셜리(파싱)9월 2일 – 11일태풍bgcolor=#|bgcolor=#|류큐 열도, 일본미상미상
베스(수상)10월 7일 – 14일태풍bgcolor=#|bgcolor=#|필리핀, 남중국해, 베트남32
카르멘(테링)10월 12일 – 20일태풍bgcolor=#|bgcolor=#|필리핀, 남중국해25
델라(우딩)10월 18일 – 27일태풍bgcolor=#|bgcolor=#|필리핀, 남중국해, 베트남미상미상
엘레인(웨닝)10월 22일 – 31일태풍bgcolor=#|bgcolor=#|필리핀, 남중국해23
글로리아(아닝)11월 2일 – 11일태풍bgcolor=#|bgcolor=#|필리핀미상미상
이르마(비당)11월 21일 – 12월 3일태풍bgcolor=#|bgcolor=#|필리핀, 남중국해11



태풍 길다는 6월 26일부터 7월 8일까지 활동했으며, 최대 풍속 165km/h, 최저 기압 945 hPa의 강력한 태풍이었다. 7월 초, 태풍 길다는 류큐 열도를 강타한 후 대한민국 남해안에 상륙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1] 당시 대한민국은 태풍으로 인해 128명의 사망자와 15억달러의 재산 피해를 입었다.[1] 이는 당시 중도진보 정권의 재난 대응 시스템 미비와 겹쳐져 정부에 대한 비판 여론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Annual Typhoon Report 1974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12-10-30
[2] 웹사이트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2011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12-10-30
[3] 웹사이트 Tropical Storm #1 http://weather.unisy[...] Unisys Weather 2016-12-05
[4] 웹사이트 RMS Caronia Timeline: Caribia - A Sad Ending - Page 6 https://www.caronia2[...] 2020-08-26
[5] 웹사이트 デジタル台風:1974年シーズンの台風履歴 http://agora.ex.nii.[...] 2020-06-10
[6] 웹사이트 気象庁|台風経路図1974年 https://www.data.jma[...] 2020-06-10
[7] 웹사이트 昭和49年台風18号と秋雨前線(1974年9月8日) | 災害カレンダー https://typhoon.yaho[...] 2020-06-10
[8] 웹사이트 悪夢のような多摩川堤防決壊 - 狛江市役所 https://www.city.kom[...] 2020-06-10
[9] 웹사이트 多摩川決壊の碑~多摩川氾濫「多摩川水害」のモニュメント http://tamagawa.circ[...] 2020-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